BUMCHUN COFFEE GROUP


DESIGN    NONESPACE
CONSTRUCTION    NONESPACE
BRANDING    NONESPACE
PHOTOGRAPH    HONG KIWOONG

SITE    11, Seongbok 1-ro 281beon-gil, Suji-gu, Yongin-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USAGE    Cafe
첫 미팅에서 브랜드의 요청은 ‘ 사람을 건강하게 세상을 행복하게’라는 슬로건이었다. 80년을 살아온 브랜드 대표의 마음가짐이었다. 다른 교외 카페들처럼 단순히 매출 극대화의 브랜드가 아닌 카페 사관학교, 컨설팅, 치유와 회복의 공간 사업 등을 통해 세상에 선한 발자국을 남기고 싶어했다. 이는 공정무역, 친환경, 비건 등에 관심이 많은 MZ세대의 니즈와 정확하게 부합했다. 그에 따라 ‘착한 캠페인’, ‘친환경 소재’ 등 진정성 있는 행위를 통한 지속가능한 브랜드라는 목표로 이어졌으며, 단순히 재활용 컵, 종이 빨대와 같은 개념에서 벗어나 ‘No Take Out’ 이라는 혁신적인 문구로도 이어졌다.

‘No Take Out’, ‘No Plug No Wi-fi’

이 말들이 의미하는 바는 ‘당신의 시간을 의미 있게 채울 수 있는,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겠다.’ 이다. 일상의 편리함을 잠시 내려놓는 순간, 그 순간의 의미 있는 가치를 우리 삶으로 끌어오고자 했다. 단편적으로 편집될 순간을 위한 일회성 공간이 아닌, ‘실재’하는 시간 속에 현재하는 것들을 사유하며 사랑하는 이들과 추억을 나눌 수 있는 브랜드 공간이 되길 바랐다.

‘Timeless Value’

폰을 내려놓았다. 수 없이 쌓인 알림을 뒤로 한 채, 갈 곳을 잃은 두 눈을 감았다. 미약한 숨소리가 의식이 흐르지 못하는 곳에 닿았다. 풀이 내는 숨소리인지 바람의 숨소리인지. 살아 움직이는 것들이 내는 소리가 나에게 닿는다. 콧등을 스치는 바람과 습기를 머금은 흙과 풀내음을 맡으며 천천히 눈을 뜬다. 그 곳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다 보니 금세 돌아갈 시간이 되어버렸다. 시간이 흘러 그 곳을 다시 찾아갔다. 그 사이 켜켜이 쌓인 세월의 흔적이 묻은 공간을 바라본다. 그 안에 새겨진 이야기를 되새겨본다. 현재와 소통하고 자연과 교감한다. 시간은 흘렀지만, 바람도 풀도 꽃도 그대로였다.
공간은 용인시 외곽인 광교산 근처에 위치했다. 위치적 접근도, ‘No Take Out’, ‘No Plug No Wi-fi’라는 이용 시스템도 고객들은 편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자연 속에서의 온전한 ‘쉼’과 ‘여유’를 위해 디지털에서 잠시 벗어나 아날로그적인 시간들을 권장하려 한다.

이른 봄의 잎샘과 여름 오후의 습한 매미소리, 낙조에 물들은 억새풀의 가을빛과 고요한 겨울 밤 시리게 불던 바람까지. 계절이 지날 때마다 변화하는 자연 뿐만 아니라,  짧게는 새벽을 열던 태양이 지는 꽃이 되어버린 듯한 해질녘의 시간대까지, 공간 안에 흐르는 자연의 시간을 담아내고자 했다. 이 곳에 흐르는 자연의 시간처럼, 연인과 데이트하던 곳에 태어난 아이와 다시 찾아오고, 그 시절을 추억하며 또 다시 찾아올 브랜드 공간에 대한 염원을 담았다.

TIME TO B-

때론 우리는 시간의 찰나를 영원한 순간으로 남기고 싶어한다. 하지만 이 곳에선 시간이 흐르면 흐르는 대로, ‘자연’스러운 순리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세월이 지나 켜켜이 쌓인 흔적들은 개인의 역사와 연결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공간은 ‘자연’의 시간과 ‘개인’의 시간 그 사이에 접점이 되어 하나의 장소가 된다.  ‘실재’하는 자연의 시간을 공간적으로 해석하여 다양한 시퀀스와 시선의 흐름을 만들어냈다.
 
일상적으로 볼 수 있는 흙을 소재로한 ‘벽돌’은 시간성과 지속성을 내포하는 재료이다. 세월이 지나도 가치가 있고 쉽게 변하지 않는  내외부의 주재료로 사용하여 하나의 통일된 이미지를 전달했다. 합해진 벽돌로 외부로 감싸고 일부 내부에 분열된 벽돌을 통해 보이드한 공간을 연출했다. 이는 실재적인 빛의 움직임을 담아내어 시간의 변화에 따른 현상학적인 리듬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공간은 자연 속의 길을 지나 마주하게 된다. 물 위의 제한된 동선을 의도했고, 마주한 넓은 출입구를 통해 확장된 공간 경험을 유도했다. 대지와 수평적으로 이어진 내부 1층은 땅의 자연과 연장선으로 계획되었다.




©NONESPACE, All Rights Reserved
T. +82 070 7720 3151
E. none-space@naver.com
Insta. @nonespace_official
©NONESPACE, All Rights Reserved
T. +82 070 7720 3151
E. none-space@naver.com
Insta. @nonespace_offi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