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NEWS    SPACE    BRANDING    ARCHIVE    RECRUIT    CONTACT    

기러기 둥지 
NEST OF GOOSE


DESIGN    NONESPACE
CONSTRUCTION    NONESPACE
BRANDING    NONESPACE
PHOTOGRAPH    KIM HANEOL

SITE    2F, 38 Yeonmujang-gil, Seongd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USAGE    Wine Bar

모든 이들이 편안하게 쉬었다 갈 수 있는, 세상 모든 기러기들의 두번째 둥지가 성수동에 자리했다. ‘익숙한 옛 것으로부터 편안함을 느낀다’라는 정서적 가치에서 출발한 브랜드 정체성을 수제화를 만드는 장인들의 손길이라는 성수동 지역감성과 연결 지었다. 낙후된 공업지대에 저마다의 상상을 덧댄 브랜드들이 활기를 띄운 거리사이, ‘성수동을 닮은, 무두장이의 작업실’ 이라는 컨셉으로 바설계를 진행했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다. 시끌벅적한 붉은색 벽돌 공장지대들 사이, 장인들의 무두질 소리가 들려온다. 어지럽게 쌓인 라스트와 건조되는 가죽들이 널려 있는 이 곳은 무두장이의 손길이 깃든 작은 작업실이다. 과거 무두장이는 생활하는 공간과 작업하는 공간의 구분이 모호하다. 침실 옆에 작업실이 있고 한 편에 가판대처럼 판매를 위해 열어둔 작은 창도 있었다. 이 곳은 많은 공업지대가 밀집했던 성수동에 깊숙하게 자리잡은, 오래된 지역 스토리에 새로운 상상을 더해 풀어낸, 기러기 둥지의 두번째 보금자리 ‘Tanner’s Atelier’ 이다.

공간 초입계단을 지나 올라오면, 구두 라스트로 채워진 공간이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작업실을 연상하게 하는 오브제들로 다음 공간에 대한 복선을 보여준다.

문을 열고 드러난 바는 가운데 화로공간을 중심으로 좌우, 거실과 드레스룸을 의도했다. 공간을 따뜻하게 감싸는 조명은 아늑한 분위기를 전달한다. 홀 공간구획은 벽체로 나누지 않고, 좌석배치와 가구 디테일의 변화로 나누었다.
들어서서 보이는 전면의 공간은 드레스룸이다. 옷장을 모티브로 벽에서 조금 돌출된 벽장은 깊이감이 느껴진다. 돌출된 벽장에서부터 다크브라운톤의 우드톤이 공간 전체를 아우르는데, 클래식한 몰딩 디테일로 전체 공간에 통일감을 주었다. 드레스룸을 장식 목적의 외투로 표현하기보다, 쌀쌀해진 날씨가 되면, 고객들이 벗어 걸은 외투로 공간이 한층 더 드레스룸다워지는 것을 의도했다. 2인석으로 구성된 좌석 테이블 상부를 들여다보면, 시계와 각종 액세서리가 보관되어 있다. 편안하게 눕듯이 앉아 같이 온 이와 술잔을 기울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벽장 속 초가 녹아 만든 멋스러운 촛농과 후면에 재생되는 디지털 흑백영상,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는 거실을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

공간 안쪽은 무두장이의 작업실과 침실이다. 가운데 작업대를 중심으로 천장에 가죽 오브제가 널려있다. 곳곳에 작업 시 썼을 법한 소품들로 더욱 생동감있는 작업실로 연출했다.

가장 안쪽 공간은 무두장이의 침실을 좌석으로 재해석하였다. ㄷ자 좌석에 테이블로 일반좌석과 다를 것 없는 구성이지만, 침대 헤드와 침구 소재를 통해 마치 침대에 앉아 와인을 즐기는 듯한 색다른 경험을 제안했다.

기러기 둥지가 가지고 있던 브랜드의 가치를 지역 스토리에 엮어 해석한 프로젝트이다. 성수동만의 기러기둥지로서 지역적 맥락과 함께 하되 고객들에게 색다른 공간경험을 제공한다. 같이 찾아온 이들과 와인을 곁들인 편안한 추억을 간직하길 바란다.

A cozy second nest for all weary travelers has taken root in Seongsu-dong — a place where everyone can pause, rest, and feel at home. The brand identity began with the emotional value of “finding comfort in the familiar past” and was linked to the regional sensibility of Seongsu-dong, known for the craftsmanship of handmade shoemakers. Amid the once-declining industrial district now revived by brands adding imagination to abandoned factories, the space was designed under the concept “Tanner’s Atelier – a workshop resembling Seongsu-dong itself.”

We trace time backward. Between rows of red-brick factories buzzing with noise, the rhythmic sound of tanners at work echoes through the air. Scattered lasts and drying leather fill this small workshop, where every surface bears the mark of a craftsman’s hand. Historically, a tanner’s home and workshop were one and the same — the workspace sat beside the bedroom, and a small open window doubled as a display stand for selling goods. This second home of Wild Goose’s Nest (기러기둥지) reinterprets the old stories rooted deep within Seongsu-dong, adding imagination to its industrial legacy — a rebirth of a forgotten craftsman’s atelier.

Upon ascending the entrance stairs, visitors are greeted by a wall filled with wooden shoe lasts, evoking curiosity and hinting at what lies ahead. Beyond the door, the bar reveals itself — a warm, intimate space centered around a firepit, flanked by zones inspired by a living room and a dressing room. The soft lighting envelops the space, creating a sense of warmth and calm. Instead of dividing the hall with walls, zoning was achieved through variations in seating and furniture details.

The front area, designed as a dressing room, features wardrobes slightly protruding from the wall to create depth. From these built-ins, dark brown wood tones extend throughout, unified by classic molding details that tie the entire interior together. Rather than styling the dressing room with decorative coats, the intent was for guests’ actual outerwear — hung naturally on cool evenings — to complete the room’s lived-in atmosphere. On the two-person tables, glass cases display watches and accessories, while guests recline comfortably, sharing wine or cocktails with their companions. Over time, melted candle wax flowing down the cabinets, the black-and-white digital films playing on the back wall, and the overall subdued warmth compose a space reminiscent of an intimate living room.

Further inside lies the tanner’s workshop and bedroom. Leather pieces hang from the ceiling above the central worktable, and props that appear to have been used in real craftwork breathe life into the scene, heightening the sense of authenticity.

At the very end, the bedroom is reinterpreted as a seating area. The U-shaped banquette, paired with a table, offers a layout similar to other seats, but the use of headboard and bedding materials evokes the feeling of sitting on a bed, savoring a glass of wine — a quietly indulgent experience that blurs the line between rest and leisure.

This project weaves the brand philosophy of Wild Goose’s Nest into Seongsu-dong’s local history, interpreting it through a spatial narrative that connects regional context with brand identity. As Seongsu’s own nest, the space offers visitors a distinct and intimate experience — a place where they can share a comfortable evening and leave with warm, lingering memories of wine and compan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