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NEWS    SPACE    BRANDING    ARCHIVE    RECRUIT    CONTACT    

메이드림
MADELIM EXHIBITION


DESIGN
   NONESPACE
CONSTRUCTION    NONESPACE
SIGNAGE    NONESPACE
PHOTOGRAPH    KIM HANEOL

SITE    42, Yongyuseo-ro 479 beon-gil, Jung-gu, Incheon, Republic of Korea
USAGE    Cultural Complex

2018년 인천광역시에서 근대건축물 6개를 문화재청 등록문화재로 신청한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애경사 건물 철거를 교훈 삼아 역사를 보존하기 위함이었다. 그중 하나가 이번 프로젝트의 왕산 교회(별당)였고, 건물의 노후화 때문에 아쉽게 문화재 선정은 되지 않았지만 우리는 건물의 마감상태와는 별개로 장소의 역사성을 보존하고 시간의 흐름을 공유하고자 했다.

건물은 별당, 본당, 사택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여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기로 결정했다. 완전히 새로운 형태나 재료가 아닌, 기존 건물의 특성과 기억을 담아 건물의 진정성과 완전성을 훼손하지 않고 헤리티지를 어떻게 보존할지 깊게 고민하였고 감사하게도 개발자의 생각도 우리와 같았다. 헤리티지란 역사, 문화, 자연, 건축 등의 보편적인 가치가 있는 보존해야 될 유산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현대의 건축물도 그렇지만 시간과 역사가 축적된 120년의 건물이라면 그 가치는 감히 우리가 책정하거나 헤아리기 어려웠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과 과거의 흔적들을 지우려 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기보다는 축적된 시간 위에 브랜드의 이야기를 새로이 새겨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기획하였다.
한 가지 주안점은 다양한 재생 건축 중 과거의 시간과 현재가 공존하는 건축이었다. 시간을 품은 고유한 스토리는 신축 건물에서 느낄 수 없고, 집합적 기억의 응축들이 보존해야 될 보편적 가치이자 문화의 결과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최대한 교회의 기존 마감재인 벽돌과 스테인드글라스, 강당으로 사용되던 구조체들은 철거하지 않고 보존하고자 했다. 역사의 보존이라는 점도 의미 있지만 경제적이고 환경적이라는 시선에서도 바람직한 일이었다.

이 장소에는 문화의 숲이라는 브랜드의 철학을 담은 메이드림’MADE 林’과 자연으로 회귀하려는 인간의 DNA에 쉼의 본질과 자연에 대한 소망을 담은 메이드림(may-dream)의 뜻을 담은 브랜드가 자리한다.
In 2018, the city of Incheon submitted six modern buildings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r registration as cultural properties—a move driven by the desire to preserve history after the demolition of the century-old Aekyung Building. One of these was Wangsan Church (Annex), the focus of this project. Although it was not ultimately selected due to structural deterioration, our intention was to preserve the historical identity of the site and share the passage of time it carried, regardless of its physical condition.

The complex originally consisted of an annex, a main chapel, and a rectory. It was later decided that the site would be reborn as a multi-purpose cultural space, breathing new life into the old structure. Rather than introducing entirely new forms or materials, we sought to honor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the existing building, retaining its memory and essence. Fortunately, the developer shared our belief in preserving its heritage.

Heritage can be defined as a legacy of universal value—historical, cultural, natural, or architectural—that deserves protection. A structure with 120 years of accumulated history holds a depth of meaning far beyond what we could quantify or recreate. Thus, instead of erasing traces of time or replacing them with something entirely new, we chose to engrave a new brand narrative atop the layers of history, transforming the space into a living cultural landmark.

Our key design principle was to create architecture where the past and present coexist. The unique stories embedded in aged structures cannot be replicated in new buildings—the collective memories they hold embody universal cultural value. For this reason, we chose to preserve as much as possible: the original brickwork, stained glass windows, and the structural framework once used as an auditorium. Beyond the symbolic importance of historical preservation, this decision was also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his space now houses MADE 林 (MADE Lim), a brand whose philosophy—“a forest of culture”—reflects a vision of harmony between humanity and nature. The name also carries the meaning of “may-dream,” expressing humanity’s innate longing to return to nature and find the essence of rest. Through this renewal, the building transcends its role as a relic of the past, becoming a living dialogue between time, culture, and the human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