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NEWS    SPACE    BRANDING    ARCHIVE    RECRUIT    CONTACT    

사유의 집
HOUSE OF REASONS


DESIGN
   NONESPACE
CONSTRUCTION    NONESPACE
PHOTOGRAPH    Jang Hyunseok, Septto

SITE    Pangyo,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USAGE    Residential Space

사유의 집 - 존재자로서의 주거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가? 이 장소에서 어떤 삶을 보내야 하는가에 대한 근원적인 고민이었다. 설계자의 입장에선 흥미로울 수밖에 없었다. 방의 숫자나 크기, 마감재의 컬러를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사유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담론을 즐겼다. 그 결과 이 집을 단순히 휴식이나 놀이의 공간이 아닌 사용자의 마음을 담는 몸의 그릇으로서 구축하고자 했다.

데카르트적 공간의 균질성과 무한 확장성은 전 세계를 동질화 시켰고 모더니즘과 아파트의 폐해로 연결된 점에 대해서는 누구나 탄식할 것이다. 하이데거는 인간이 정주함으로 존재하며 시적인 자만이 정주할 수 있다고 했다. 건축은 본래 거주이며 거주란 땅 위에 존재하는 방식이다. 건축의 본질은 공간이고 비움의 공간이 건축의 쓸모와 직결된다.  자연을 연모하고 사유하는 삶을 꿈꾸는 존재자를 위한 집은 어떤 장소일까? 우리는 공간을 비움으로써 얻을 수 있는 건축의 본질에 대해 고민했다.

이 건축과 터는 남쪽으로 마당을 품고 이 마당은 공원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다. 동쪽에도 공원이 있지만 벽으로 막혀 있었고 1, 2층은 분절되어 있었다. 당장 동쪽의 벽을 허물고 2층의 슬라브를 허물자고 제안했다. 태양의 길과 변화하는 달의 궤도, 이따금씩 떠오르는 별의 광채, 사계절의 변화, 낮의 빛과 황혼 혹은 여명, 밤의 어두움과 정명, 흘러가는 구름과 천공의 푸른 깊이 등을 온전히 받아들이기 위함이다.



땅과 하늘, 자연과 같은 암묵적인 현존을 최소한의 개입과 행동으로 삶으로 끌어들였다. 요리와 식사, 작업을 하거나 어떠한 행위를 하면서도 자연을 바라볼 수 있는 구조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하면 모든 소재와 색은 비우고 정제하였다.

북쪽에는 화로가 있다. 빛이 안 드는 곳에 아궁이가 위치한 전통의 개념이나, 풍수지리에 의거한 거창한 이유가 아니었다. 동쪽은 해가 차오르는 풍경과 소나무로, 남쪽은 공원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마당과 빛을 발산하는 해, 서쪽은 지고 있는 석양으로 충분했기에 기능적으로 막혀있고 응당 TV가 있어야 할 곳에 사색을 위한 불을 지폈다.

열려 있는 정원은 나의 삶과 시간을 함께 보낼 자연이자 현상이고, 주거의 본질인 휴식은 풍경과 사계를 온전히 느끼면서 취할 수 있다. 마당과 숲의 경계를 허물고 내외부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자연과 하나 되며 한국적인 정체성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존재에게 의미를 부여하여 존재자가 될 수 있는 의지를 보여주는 현상학적 공간이다.

이렇게 이 집은 자연으로 연장된 포괄적인 총체성과 지역적 상황에 따라 존재함으로써 특정한 정체성을 갖는 장소성을 형성하였다. 존재자는 이 건축 속에서 땅과 하늘이 건네는 말에 응답하고 터와 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장소는 존재자와 공명하여 비로소 혼을 가지게 되었다.
House of Thought – Dwelling as an Act of Being

The client’s request was not about the number or size of rooms, nor the color of the finishes, but a fundamental question: How should one live from now on? What kind of life should unfold in this place? From an architect’s perspective, this was a rare and deeply engaging challenge — a discourse not on functionality, but on the place for contemplation. Thus, this house was conceived not merely as a space for rest or leisure, but as a vessel of the body that holds the inhabitant’s inner world.

The Cartesian idea of homogeneous, infinitely extendable space has led to a global uniformity — a lamentable legacy that found its way into modernism and the mass-produced apartment. Heidegger once said that human beings exist through dwelling, and only those who dwell poetically can truly exist. Architecture, in its essence, is dwelling — and to dwell is to exist upon the earth. The essence of architecture lies in space, and the emptiness of space determines its true usefulness. So what kind of dwelling could embody the life of one who yearns for nature and reflection? We sought to rediscover the essence of architecture through emptiness.

The site faces south, embracing a courtyard that seamlessly connects to the park beyond. Though another park lies to the east, it was once blocked by walls, and the first and second floors were disconnected. We proposed removing the eastern wall and the slab of the second floor — to fully receive the path of the sun, the orbit of the moon, the rare glimmer of stars, the changing seasons, the light of day, the dusk and dawn, the darkness and stillness of night, drifting clouds, and the deep blue of the sky.

With minimal intervention, the design invites the implicit presence of earth, sky, and nature into everyday life. The structure allows the inhabitant to face nature while cooking, dining, working, or simply being. To that end, every material and color was reduced and refined — stripped of excess, filled with stillness.

On the north side lies a hearth. Its placement is neither a nostalgic revival of traditional layouts nor an adherence to geomancy. The east already opens toward the rising sun and pines, the south connects naturally to the courtyard and sunlight, and the west receives the descending glow of dusk — thus, the north, functionally enclosed, became the place not for a television, but for a fire that invites thought.

The open garden is both a presence and a companion — a natural phenomenon that shares time and life with the dweller. The essence of rest, the very core of habitation, is realized through the full experience of landscape and season. By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courtyard and forest,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the house becomes one with nature — an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through spatial continuity. It is a phenomenological space that endows meaning to existence, allowing the inhabitant to truly be.

In this way, the house forms a place of identity — an integrated totality rooted in nature and locality. Within this architecture, the dweller responds to the whispers of the earth and sky, entering into dialogue with the site itself. Through this resonance between being and place, the house at last attains its s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