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NEWS    SPACE    BRANDING    ARCHIVE    RECRUIT    CONTACT    

웅녀의신전
TEMPLE OF UNGNYEO


DESIGN    NONESPACE
CONSTRUCTION    NONESPACE
BRANDING    NONESPACE  
PHOTOGRAPH    NONESPACE

SITE    160, Dongtanyeok-ro, Hwaseong-si, Gyeonggi-do
USAGE    Restaurant

컨텐츠는 뷰티브랜드 미샤의 개똥쑥 화장품으로 쑥의 민족이라는 컨셉과 인사동이라는 사이트가 주어졌다. 공간의 기능은 일반적인 화장품 소매점의 방식을 넘어 피부에 바르는 것만이 아닌 미각, 후각, 시각과 같은 오감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요청했다.

우리는 이 주제를 쑥을 먹고 곰에서 사람이 된 웅녀의 설화로 공간과 브랜딩의 컨셉으로 설정했다.
웅녀는 우리나라의 전설 속 ‘단군신화(우리나라 최초의 건국 신화)’의 등장인물이다. 원래는 곰이었으나 동굴 속에서 햇빛을 보지 않고 쑥과 마늘만 먹는 시련을 견디고 사람이 되었으며, 우리민족의 시조인 단군왕검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단군신화의 스토리를 토대로 웅녀의 선한 심성과 모습이 인간에 닿아, 이를 기리기 위해 신전을 만들었으니 ‘웅녀의 신전’이라 칭했다. 신전에서의 특별한 쑥차 한 잔으로 몸을 정화하고 심신을 가다듬는 시간을 선사하고자 한다.
The content was centered on Missha’s Artemisia (mugwort) skincare line, under the concept of “the nation of mugwort,” and set within Insadong, a culturally symbolic location. The space was designed to go beyond the typical structure of a cosmetics retail store—inviting visitors to experience the brand not only through touch and application, but also through taste, smell, and sight, engaging all five senses.

We based the spatial and branding concept on the legend of Ungnyeo, the bear who became human by eating mugwort—a story from Korea’s founding myth, Dangun mythology. Ungnyeo, once a bear, endured a trial of isolation in a cave, abstaining from sunlight and living only on mugwort and garlic until she transformed into a human. She later became the mother of Dangun Wanggeom, the progenitor of the Korean people.

Drawing from this myth, we envisioned “The Temple of Ungnyeo”—a sacred space honoring her benevolent spirit and transformation. Within this temple, a single cup of mugwort tea offers a moment of purification and tranquility, inviting visitors to cleanse their bodies and minds while connecting with the ancient story that symbolizes endurance, transformation, and rebi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