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NEWS    SPACE    BRANDING    ARCHIVE    RECRUIT    CONTACT    

이로
EERO


DESIGN    NONESPACE
CONSTRUCTION    NONESPACE
BRANDING    NONESPACE
PHOTOGRAPH    Kim Haneol

SITE    32 Banpo-daero 30-gil, Seocho-gu, Seoul
USAGE    Cafe
지역성을 품은 한국적 설화의 재해석

서초구는 ‘서리풀’에서 나온 말로서 상서로운 풀이라고도 불렸다. 고구려 때는 쌀을 물이 서리어 흐르는 벌판이란 뜻으로 ‘서릿발’이라 불렸는데 이것이 변해 ‘서리풀’이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대법원이 있는 곳으로 법조단지이며 공간이 위치한 건축도 법조인들을 위한 로이어즈타워였다. 우리는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장소를 잇기 위해 서리풀의 이야기와 과거로부터 물의 신수이자 법과 정의를 상징하며 대법원에서도 볼 수 있는 해태의 정원을 컨셉으로 하였다.

공간은 이로운 길이라는 브랜드 염원인 길이 상징하는 방향성과 시간의 흐름을 축적할 수 있는 콘크리트로 정제된 선의 미학을 표현하였다. 전체적인 공간을 일원화하여 비움으로써 자연의 현상을 내포하고자 하였다. 물의 신수인 해태의 특성인 물, 불, 구름, 바람을 물결의 움직임, 물의 소리, 불의 그림자, 안개의 감촉과 같은 현상학적 가치를 공감각적으로 표현하였다.

1층은 중정을 중심으로 구성된 공간과 지하로 연결된 성큰이 특징이다. 자연과 가까이하고 빛을 받아들이려는 건축가의 의도를 읽었다. 한국의 정원이 그러하듯 주변 환경을 최대한 존중하고 인간과 조화될 수 있는 무심함 정원으로 구성하였고 작은 우물은 지하로 연결되어 빛과 물이 감응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지하로 내려가면 작은 해태상이 초가 맞이해주는데 사찰의 일주문처럼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보이지 않지만 물의 소리로 다음의 공간을 연상하고 전이공간을 통해 진입하게 된다. 진입하게 되면 성큰에서 떨어지는 물줄기를 마주하는데 이는 단순한 물이 아니라 인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소리의 끈이자 시각의 줄이다.

일상에 지친 직장인들에게 마음을 비울 수 있는 공간을 내어주고자 물의 소리, 빛의 움직임, 빛과 감응한 물결, 안개와 같은 해태의 요소들로 심신의 안정을 꾀하고자 하였다.

지역과 기존 건축의 맥락을 읽고 장소와 지역에서 답을 찾았다. 여백으로 비워진 공간은 저마다의 계절과 시간으로 채워질 것이다.
A Reinterpretation of Korean Myth through Local Identity

The name Seocho-gu originates from Seoripul, meaning “auspicious grass.” During the Goguryeo period, the area was called Seoritbal—a term describing rice fields where frosty water flowed—later evolving into Seoripul. Today, the district is home to Korea’s Supreme Court and its surrounding legal complex, and the building where this space resides once served as the Lawyers Tower, a hub for legal professionals.

To connect the memory of the past with the spirit of the present, the design draws inspiration from the myth of Seoripul and the symbolic figure of Haetae—a divine water creature representing law and justice, and a guardian figure also seen in the Supreme Court’s architecture. The concept centers on the idea of a “Garden of Haetae,” where the narrative of water, virtue, and protection unfolds in spatial form.

The brand Iroun Gil, meaning “the path of good fortune,” inspired the design philosophy—expressed through the refined aesthetic of linear geometry shaped in concrete, a material capable of accumulating both direction and the passage of time. By simplifying and unifying the spatial layout, the design seeks to embody the emptiness that holds nature within it. The elements associated with Haetae—water, fire, cloud, and wind—are translated into multisensory,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the movement of rippling water, the resonance of sound, the shadow of fire, and the tactile presence of mist.

The first floor centers around an inner courtyard and a sunken space connected to the basement, reflecting the architect’s intention to invite natural light and closeness to nature. Like a traditional Korean garden, it embraces its surroundings with restraint and harmony, forming an unassuming landscape where humans and nature coexist. A small well connects to the lower level, allowing light and water to interact in quiet dialogue.

Descending below, visitors are greeted by a small statue of Haetae—a symbolic gesture akin to passing through a temple’s Iljumun (One Pillar Gate), marking the entrance to another realm. Though unseen, the sound of water guides one’s senses toward the next space, leading through a transitional passage. Inside, a vertical stream of water descends from the sunken void—more than just a visual feature, it becomes a thread of sound and light that connects human and space.

For urban professionals weary from daily life, the space offers a moment of stillness and release—a refuge where the sound of water, movement of light, shimmering reflections, and soft mist restore calm and balance.

Rooted in the context of the site and its regional narrative, the project finds its answers within the land itself. The emptiness of the space is intentional—a canvas left open to be filled with the seasons, time, and quiet transformations that unfold naturally within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