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신당
ZOO SIN DANG
DESIGN NONESPACE
CONSTRUCTION NONESPACE
BRANDING NONESPACE
PHOTOGRAPH NONESPACE
SITE 411, Toegye-ro, Jung-gu, Seoul
USAGE Cocktail Bar
CONSTRUCTION NONESPACE
BRANDING NONESPACE
PHOTOGRAPH NONESPACE
SITE 411, Toegye-ro, Jung-gu, Seoul
USAGE Cocktail Bar
‘by Jean’은 브랜드가 자리할 지역성과 장소성을 담는 철학을 갖고 있다. 일례로 첫번째 공간인 과일가게 컨셉의 칵테일 바 ‘장프리고’이다. 장프리고는 동대문 시장에서 과일과 채소를 팔던 청과물시장에서 영감을 받아 공간과 컨텐츠를 기획 하였다. 이어 두번째 칵테일 바가 자리 할 신당동에는 중앙시장, 가구거리, 황학동 주방 시장 등 서울 중앙시장이 집성 되어있다. 지금부터 이 시장들의 한 켠에 위치한 ‘by Jean’ 두번째 공간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했던 이야기를 풀어보려 한다.
신당동은 현재 갑오개혁 이후 신당(新堂)동이라 불리고 쓰이고 있지만, 과거에는 시구문(시체가 나가는 문)이라 불리는 광희문의 동쪽에 위치하여 무당들의 집성촌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 지역을 신당(神堂)이라 하였다.
바로 인접해 있는 황학동은 과거에 주로 논과 밭이었던 지역으로 주로 채소를 생산해 서울 주민들에게 공급하는 지역이었으나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오갈 곳 없는 피란민들이 몰려들면서 급속도로 판자촌이 형성되었다.이들이 생계를 위해 노점과 고물상을 시작한 것이 지금의 황학동시장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현재는 떡볶이타운으로 유명한 신당동이지만 아직까지도 신당동 중앙시장, 황학동 주방 시장, 동묘 도깨비시장, 가구거리 등 현재까지 청계천의 좌우로 시장들이 즐비 해 있으며 간간이 점집도 보이는 신당동에서 '장소성'과 '지역성'을 담은 공간을 구축하려 하였다.
신당동은 현재 갑오개혁 이후 신당(新堂)동이라 불리고 쓰이고 있지만, 과거에는 시구문(시체가 나가는 문)이라 불리는 광희문의 동쪽에 위치하여 무당들의 집성촌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 지역을 신당(神堂)이라 하였다.
현재는 떡볶이타운으로 유명한 신당동이지만 아직까지도 신당동 중앙시장, 황학동 주방 시장, 동묘 도깨비시장, 가구거리 등 현재까지 청계천의 좌우로 시장들이 즐비 해 있으며 간간이 점집도 보이는 신당동에서 '장소성'과 '지역성'을 담은 공간을 구축하려 하였다.
‘by Jean’ embraces a philosophy that captures the regional character and sense of place where the brand settles. One example is the first space, the fruit-shop-concept cocktail bar “Jeanfrigo.” Jeanfrigo was planned in terms of both space and content, taking inspiration from the greengrocer markets of Dongdaemun, where fruits and vegetables were sold.
The second cocktail bar will be located in Sindang-dong, an area that encompasses Jungang Market, Furniture Street, and the Hwanghak-dong kitchenware market—Seoul’s central marketplace concentrated in one district. Here, we began to explore how to express the second ‘by Jean’ space situated in a corner of these markets.
Sindang-dong, officially named after the Gabo Reform as “Sindang (新堂)-dong,” was historically known as “Sindang (神堂)”—a community of shamans located east of Gwanghuimun, the “Gate of Corpses” (Sigumun), through which funeral processions once passed.
Hwanghak-dong, directly adjacent, was once farmland that supplied vegetables to Seoul residents. After Korea’s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refugees flocked to the area and makeshift shantytowns quickly formed. Their street stalls and scrap shops for survival eventually evolved into what is now Hwanghak-dong Market.
Today, Sindang-dong is famous for its Tteokbokki Town, yet markets still line both sides of Cheonggyecheon—the Sindang Jungang Market, Hwanghak-dong Kitchenware Market, Dongmyo Flea Market, and Furniture Street—and even now, one can still spot the occasional fortune-telling house. Within this Sindang-dong landscape, we sought to create a space that embodies both placeness and regional identity.
copyright(c) 2025 All rights reserved by NONE SPACE